맨위로가기

탈출 속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출 속도는 중력장을 벗어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속도이다.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으며, 행성이나 위성의 표면을 초기 위치로 가정한다. 지구 표면에서의 탈출 속도는 약 11.2 km/s이며, 회전하는 천체에서는 발사 방향에 따라 탈출 속도가 달라진다. 탈출 속도에 대한 오해와 궤도, 탈출 궤도 및 쌍곡선 궤도에 대한 내용도 다룬다. 여러 천체의 탈출 속도와 표면에서의 탈출 속도, 회전하는 천체의 탈출 속도, 실제 탈출 과정에서의 고려 사항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2. 탈출 속도의 정의 및 계산

탈출 속도는 주어진 중력장과 위치에서 별다른 추진 없이 중력을 벗어날 수 있는 최소 속력을 의미한다. 이는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속력의 개념이다.[2] 일반적으로 균일한 형태의 행성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가정하며, 이 물체에는 행성의 중력만이 유일한 힘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한다.

thumb

일반적인 행성이나 위성의 경우, 탈출 속도는 표면을 초기 위치로 하여 계산한다. 예를 들어, 지구 표면에서의 탈출 속도는 대략 11.2 km/s(마하 34)이다.[6] 하지만 고도 9,000 km에서는 대략 7.1 km/s 이하로 줄어든다.

회전하는 천체에서 탈출 속도는 탈출하려는 물체의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지구는 적도에서 465 m/s의 자전 속도를 가지므로, 적도에서 동쪽으로 발사된 로켓은 10.735 km/s의 초기 속도만으로 탈출할 수 있지만, 서쪽으로 발사하려면 11.665 km/s의 초기 속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주선 발사 장소는 가능한 적도 근처에 설치하는데, 프랑스령 기아나에 위치한 유럽의 기아나 우주 센터는 적도로부터 5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구심 대칭을 이루는 질량 ''M''의 주체(별 또는 행성 등)에서 거리 ''d''에서의 탈출 속도는 다음 공식으로 주어진다.[3]

:v_e = \sqrt{\frac{2GM}{d}} = \sqrt{2gd}

여기서:


  • ''G''는 만유인력 상수 ( )이다.
  • ''g'' = ''GM/d2''는 국소 중력 가속도 (또는 ''d'' = ''r''일 때의 표면 중력)이다.


값 ''GM''은 표준 중력 상수, 또는 ''μ''라고 하며, ''G''나 ''M''을 개별적으로 아는 것보다 더 정확하게 알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만약 초기 속도 V가 탈출 속도 v_e보다 크다면, 물체는 쌍곡선 초과 속도 v_{\infty}에 점근적으로 접근한다.[4]

:{v_\infty}^2 = V^2 - {v_e}^2 .

2. 1. 에너지 보존 법칙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하면 탈출 속도를 유도할 수 있다. 질량 ''M''의 행성 중심으로부터 ''r''만큼 떨어진 곳에서 초기 속도 v_e를 갖는 질량 ''m''의 물체를 생각해 보자. 이 물체에는 운동 에너지와 중력 위치 에너지만 존재하므로, 초기 상태와 최종 상태의 에너지 총합은 동일하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K + U_g)_i = (K + U_g)_f. \,

여기서 중력장을 간신히 벗어날 정도, 즉 무한대 거리에서 속력이 0이 되는 조건을 구하는 것이므로, 최종 상태에서의 운동 에너지 및 위치 에너지 ''K''''f'' 와 ''U''gf는 모두 0이다. 따라서,

:\frac{1}{2}mv_e^2 + \frac{-GMm}{r} = 0 + 0

이 식을 정리하면 탈출 속도 v_e는 다음과 같다.

:v_e = \sqrt{\frac{2GM}{r}}

보다 엄밀하게 정의하면, 탈출 속도는 중력장 내 초기 위치에서 무한대 거리로 물체를 이동시키고 최종 속도가 0이 되도록 하는 초기 속도이다. 역으로, 무한대 거리에서 초기 속도 0인 물체가 중력에 의해 끌어당겨져 어떤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속도가 바로 그 위치에서의 탈출 속도이다.[7]

thumb는 지구 탈출 속도를 달성한 최초의 인공 물체였다.]]

탈출 속도의 존재는 에너지 보존 법칙과 유한한 깊이의 에너지장의 결과이다. 주어진 총 에너지를 가진 물체가 보존력(정적 중력장 등)의 영향을 받아 움직일 때, 물체는 총 에너지에 해당하는 위치와 속도의 조합에만 도달할 수 있다. 이보다 높은 위치 에너지를 갖는 곳에는 도달할 수 없다. 물체에 속도(운동 에너지)를 더하면 도달 가능 영역이 확장되며,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면 무한대 지점까지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중력 상수를 ''G'', 지구(또는 다른 중력체)의 질량을 ''M'', 탈출하는 물체(또는 발사체)의 질량을 ''m''이라 하자. 중력 중심에서 거리 ''r''에 있는 물체가 느끼는 인력은 다음과 같다.

:F = G\frac{Mm}{r^2}.

이 힘에 반하여 작은 거리 ''dr''만큼 물체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일은 다음과 같다.

:dW = F \, dr = G\frac{Mm}{r^2}\,dr.

물체를 중력체의 표면 ''r''0에서 무한대까지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총 일은 다음과 같다.[19]

:W = \int_{r_0}^\infty G\frac{Mm}{r^2}\,dr = G\frac{Mm}{r_0} = mgr_0.

무한대에 도달하기 위해 이 일을 하려면, 출발 시 물체의 최소 운동 에너지가 이 일과 일치해야 하므로, 탈출 속도 ''v''0는 다음을 만족한다.

: \frac{1}{2}m v_0^2 = G\frac{Mm}{r_0},

따라서,

:v_0 = \sqrt\frac{2GM}{r_0} = \sqrt{2gr_0}.

2. 2. 상대론적 고려

상대론적 계산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지는데, 이 경우 변수 ''r''은 슈바르츠실트 계량의 ''반지름 좌표'' 또는 ''축소된 둘레''를 나타낸다.[8][9]

3. 탈출 속도에 대한 오해

많은 사람이 탈출 속도에 대해 로켓과 같은 추진력을 가진 물체가 반드시 탈출 속도에 도달해야만 지구 중력권을 탈출할 수 있다고 믿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지식이다. 로켓은 사실 지표면에서 탈출 속도에 해당하는 속도를 가질 수조차 없다. 탈출 속도는 어떤 물체가 단순히 지표면에서 발사되고 그 이후 어떠한 운동 에너지도 공급받지 않는 경우에 그 행성의 중력권을 탈출하기 위해 지표면에서 가져야 하는 속도일 뿐이다. 사실 지속적으로 양의 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비행체라면 어떤 속도라도 지구 중력을 탈출할 수 있다.

4. 궤도

지구 대기권의 마찰 때문에, 지표면에서 물체를 발사하려면 탈출 속도(11.2 km/s)보다 더 빠른 속도가 필요하다. 또는 해당 속도까지 가속해야 하며, 이 속도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추력은 필요하지 않다. 인공위성을 발사할 때는 1, 2차 로켓을 이용하여 공기 저항이 적은 높은 고도까지 올라간 후, 최종 발사체를 더 낮은 탈출 속도로 발사한다.

주어진 고도에서의 탈출 속도는 같은 고도에서의 원 궤도 속도의 $\sqrt 2$ 배이다. 이는 원 궤도에 있는 물체의 위치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의 -2배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으며, 탈출하기 위해서는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의 합이 최소 0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원 궤도에 해당하는 속도를 '제1우주 속도', 탈출 속도를 '제2우주 속도'라고 부르기도 한다.[11][12][13]

타원 궤도에 있는 물체가 탈출 궤도로 가속하려면, 필요한 속도는 물체가 중심 천체에 가장 가까운 근지점에서 가장 크다. 그러나 물체의 궤도 속도 또한 이 지점에서 가장 높으며, 오베르트 효과에 의해 설명되듯이 필요한 속도 변화는 가장 낮다.

위치탈출 대상Ve (km/s)[23]주석
태양태양 중력617.5
수성수성 중력4.3[24]수성태양 중력67.7
금성금성 중력10.3금성태양 중력49.5
지구지구 중력11.2[24]지구/달태양 중력42.1
달 중력2.4지구 중력1.4
화성화성 중력5.0[24]화성태양 중력34.1
목성목성 중력59.6[24]목성태양 중력18.5
가니메데가니메데 중력2.7
토성토성 중력35.6[24]토성태양 중력13.6
천왕성천왕성 중력21.3[24]천왕성태양 중력9.6
해왕성해왕성 중력23.8[24]해왕성태양 중력7.7
명왕성명왕성 중력1.2
태양계 중심우리 은하 중력492 ~ 594[25]
사건 지평선블랙홀의 중력≥ 299,792빛의 속력


4. 1. 탈출 궤도

탈출 속도를 지닌 물체가 행성으로부터 수직으로 벗어나는 형태가 아니라면, 곡선 형태의 궤적을 이루게 된다. 이 궤적은 닫힌 형태가 아닐지라도 궤도로 인식된다.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중력밖에 없다면,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해 이 물체는 어떤 위치에서든 탈출 속도를 지니게 되며, 행성의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포물선 궤적을 그린다.[23]

우주에는 여러 중력장이 얽혀 있기 때문에, 지구에 대한 탈출 속도를 만족한다고 해서 지구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구로부터 완전히 탈출하기 위해서는 태양으로부터 역시 탈출해야 하며, 태양으로부터의 탈출 속도는 지구로부터의 탈출 속도보다 더 크다. 만약 지구의 탈출 속도만을 만족한다면, 초기에는 지구를 초점으로 하는 포물선 궤도를 그리는 것처럼 보이겠지만, 최종적으로는 태양을 초점으로 하는 닫힌 타원 궤도를 그리게 될 것이다.[23]

지구로부터 탈출하기 위해서는 11.2km/s의 속도면 되지만, 태양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서는 617.5km/s의 속도가 필요하다.


만약 물체가 정확히 탈출 속도에 도달했지만, 행성에서 곧바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지 않는다면, 곡선 경로 또는 궤도를 따르게 된다. 이 궤도는 닫힌 모양을 형성하지 않지만, 궤도라고 지칭될 수 있다. 중력이 시스템에서 유일하게 중요한 힘이라고 가정하면, 에너지 보존에 의해 궤도의 어느 지점에서든 물체의 속도는 해당 지점에서의 탈출 속도와 같을 것이며, 총 에너지는 항상 0이어야 하므로, 항상 탈출 속도를 갖게 된다.[23] 궤도의 모양은 행성의 질량 중심에 초점이 위치하는 포물선이 될 것이다. 실제 탈출은 행성이나 대기와 교차하지 않는 궤도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물체의 충돌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탈출원으로부터 멀어질 때, 이 경로는 탈출 궤도라고 불린다. 탈출 궤도는 ''C3'' = 0 궤도로 알려져 있다. ''C3''는 특성 에너지로, = −''GM''/2''a''이며, 여기서 ''a''는 장반경으로, 포물선 궤도에서는 무한대이다.[23]

만약 물체가 탈출 속도보다 큰 속도를 가지고 있다면, 그 경로는 쌍곡선 궤도를 형성하며, 물체가 가진 추가 에너지에 해당하는 과잉 쌍곡선 속도를 갖게 될 것이다. 탈출 속도로 가속하는 데 필요한 속도보다 비교적 약간 더 큰 델타-''v''는 무한대에서 비교적 큰 속도를 가져올 수 있다. 이중 타원 전이와 같은 일부 궤도 기동은 이 사실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탈출 속도가 11.2km/s인 곳에서 0.4km/s를 더하면 쌍곡선 과잉 속도는 3.02km/s가 된다.[23]

원궤도(또는 타원 궤도의 근점)에 있는 물체가 탈출 속도로 여행 방향을 따라 가속하면, 가속 지점이 탈출 궤도의 근점을 형성한다. 결국 이동 방향은 가속 지점의 방향과 90도가 된다. 만약 물체가 탈출 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면, 결국 이동 방향은 더 작은 각도가 될 것이며, 현재 취하고 있는 쌍곡선 궤도의 점근선 중 하나로 표시된다. 이는 특정 방향으로 탈출하려는 경우 가속 시점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23]

4. 2. 쌍곡선 궤도

탈출 속도를 지닌 물체가 행성으로부터 수직으로 벗어나는 형태가 아니라면, 곡선 형태의 궤적을 이루게 되는데, 이를 쌍곡선 궤도라고 한다. 이 궤적은 닫힌 형태가 아닐지라도 궤도로 인식된다.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중력밖에 없다면,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해 이 물체는 어떤 위치에서든 탈출 속도를 지니게 되며, 행성의 질량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포물선 궤적을 그린다.[23]

우주에는 여러 중력장이 얽혀 있기 때문에, 지구에 대한 탈출 속도를 만족한다고 해서 지구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구로부터 완전히 탈출하기 위해서는 태양으로부터 역시 탈출해야 하며, 태양으로부터의 탈출 속도는 지구로부터의 탈출 속도보다 더 크다. 만약 지구의 탈출 속도만을 만족한다면, 초기에는 지구를 초점으로 하는 포물선 궤도를 그리는 것처럼 보이겠지만, 최종적으로는 태양을 초점으로 하는 닫힌 타원 궤도를 그리게 될 것이다.[23]

만약 물체가 탈출 속도보다 큰 속도를 가지고 있다면, 그 경로는 쌍곡선 궤도를 형성하며, 물체가 가진 추가 에너지에 해당하는 과잉 쌍곡선 속도를 갖게 될 것이다. 탈출 속도로 가속하는 데 필요한 속도보다 비교적 약간 더 큰 델타-''v''는 무한대에서 비교적 큰 속도를 가져올 수 있다. 이중 타원 전이와 같은 일부 궤도 기동은 이 사실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탈출 속도가 11.2km인 곳에서 0.4km를 더하면 쌍곡선 과잉 속도는 3.02km가 된다.

:v_\infty = \sqrt{ V^2 - {v_e}^2 } = \sqrt{ (11.6 \text{ km/s})^2 - (11.2 \text{ km/s})^2 } \approx 3.02 \text{ km/s}.

원궤도(또는 타원 궤도의 근점)에 있는 물체가 탈출 속도로 여행 방향을 따라 가속하면, 가속 지점이 탈출 궤도의 근점을 형성한다. 결국 이동 방향은 가속 지점의 방향과 90도가 된다. 만약 물체가 탈출 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면, 결국 이동 방향은 더 작은 각도가 될 것이며, 현재 취하고 있는 쌍곡선 궤도의 점근선 중 하나로 표시된다. 이는 특정 방향으로 탈출하려는 경우 가속 시점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근점에서의 속도가 라면, 궤도의 이심률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e=2(v/v_e)^2-1

이는 타원, 포물선 및 쌍곡선 궤도에 유효하다. 만약 궤도가 쌍곡선 또는 포물선이라면, 근점 방향으로부터 각도 \theta에 점근적으로 접근할 것이며,

:\sin\theta=1/e.

속도는 점근적으로 다음 값에 접근할 것이다.

:\sqrt{v^2-v_e^2}.

5. 여러 천체의 탈출 속도

이 표는 여러 천체의 탈출 속도를 나타낸다. 표의 왼쪽은 행성이나 위성의 표면에서 해당 천체의 중력을 벗어나기 위한 탈출 속도(Ve)를, 오른쪽은 더 큰 천체(예: 행성이 태양)를 기준으로 한 속도(Ve)와 작은 천체(행성 또는 위성) 자체를 기준으로 한 속도(Vte)를 나타낸다.[15][20]

위치기준Ve (km/s)위치기준Ve (km/s)시스템 탈출 속도, Vte (km/s)
태양 표면태양 중력617.5colspan=4 |
수성 표면수성 중력4.25수성에서태양 중력~ 67.7~ 20.3
금성 표면금성 중력10.36금성에서태양 중력49.517.8
지구 표면지구 중력11.186지구에서태양 중력42.116.6
표면달 중력2.38달에서지구 중력1.42.42
화성 표면화성 중력5.03화성에서태양 중력34.111.2
세레스 표면세레스 중력0.51세레스에서태양 중력25.37.4
목성 표면목성 중력60.20목성에서태양 중력18.560.4
이오 표면이오 중력2.558이오에서목성 중력24.57.6
유로파 표면유로파 중력2.025유로파에서목성 중력19.46.0
가니메데 표면가니메데 중력2.741가니메데에서목성 중력15.45.3
칼리스토 표면칼리스토 중력2.440칼리스토에서목성 중력11.64.2
토성 표면토성 중력36.09토성에서태양 중력13.636.3
타이탄 표면타이탄 중력2.639타이탄에서토성 중력7.83.5
천왕성 표면천왕성 중력21.38천왕성에서태양 중력9.621.5
해왕성 표면해왕성 중력23.56해왕성에서태양 중력7.723.7
트리톤 표면트리톤 중력1.455트리톤에서해왕성 중력6.22.33
명왕성 표면명왕성 중력1.23명왕성에서태양 중력~ 6.6~ 2.3
태양으로부터 200 AU 지점태양 중력2.98[16]rowspan=4 colspan=4 |
태양으로부터 1774 AU 지점태양 중력1[16]
태양계 은하 반지름 지점은하수 중력492–594[17][18]
사건의 지평선블랙홀 중력>299,792.458 (광속)



수성과 명왕성은 궤도 이심률이 크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의 탈출 속도는 궤도상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5. 1. 표면에서의 탈출 속도

탈출 속도는 중력장 내에서 어떤 위치에서 별도의 추진 없이 중력을 벗어날 수 있는 최소한의 속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행성이나 위성의 표면을 기준으로 탈출 속도를 이야기한다.

탈출 속도는 방향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속도가 아닌 속력의 개념이다.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하면 탈출 속도를 쉽게 구할 수 있다. 질량 ''M''인 행성의 중심으로부터 ''r''만큼 떨어진 곳에 있는 질량 ''m''인 물체의 초기 속도를 v_e라고 하면,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만을 고려하여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K + U_g)_i = (K + U_g)_f. \,

최종 상태에서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가 모두 0이 되는 조건, 즉 무한히 먼 거리에서 속력이 0이 되는 조건을 이용하면,

:\frac{1}{2}mv_e^2 + \frac{-GMm}{r} = 0 + 0

:v_e = \sqrt{\frac{2GM}{r}}

와 같이 탈출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지구 표면에서의 탈출 속도는 대략 11.2 km/s(마하 34) 정도이다. 하지만 고도 9,000 km에서는 대략 7.1 km/s 이하로 줄어든다.[10]

탈출 속도 v_e는 물체의 표면에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v_e = \sqrt{2gr\,}

여기서 ''r''은 물체의 중심과 탈출 속도를 계산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이고, ''g''는 해당 거리에서의 중력 가속도(표면 중력)이다.[10]

질량이 구 대칭으로 분포하는 물체의 경우, 표면에서의 탈출 속도는 밀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했을 때 반지름에 비례하고, 평균 밀도 ρ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v_e = Kr\sqrt\rho

여기서 K = \sqrt{\frac{8}{3} \pi G} \approx 2.364\times 10^{-5} \text{ m}^{1.5} \text{ kg}^{-0.5} \text{ s}^{-1} 이다.

회전하는 천체에서 탈출 속도는 물체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지구는 적도에서 동쪽으로 465 m/s의 회전 속도를 가진다. 따라서 지구 적도에서 동쪽으로 발사된 로켓은 10.735 km/s의 초기 속도만으로도 탈출할 수 있지만, 서쪽으로 발사된 로켓은 11.665 km/s의 초기 속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주선 발사 장소는 가능한 한 적도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럽의 기아나 우주 센터프랑스령 기아나에 위치하며, 적도에서 5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다음은 여러 천체 표면에서의 탈출 속도를 나타낸 표이다.[15][20]

위치기준Ve (km/s)시스템 탈출 속도, Vte (km/s)
태양 표면태양 중력617.5
수성 표면수성 중력4.25수성에서태양 중력~ 67.7~ 20.3
금성 표면금성 중력10.36금성에서태양 중력49.517.8
지구 표면지구 중력11.186지구에서태양 중력42.116.6
표면달 중력2.38달에서지구 중력1.42.42
화성 표면화성 중력5.03화성에서태양 중력34.111.2
세레스 표면세레스 중력0.51세레스에서태양 중력25.37.4
목성 표면목성 중력60.20목성에서태양 중력18.560.4
이오 표면이오 중력2.558이오에서목성 중력24.57.6
유로파 표면유로파 중력2.025유로파에서목성 중력19.46.0
가니메데 표면가니메데 중력2.741가니메데에서목성 중력15.45.3
칼리스토 표면칼리스토 중력2.440칼리스토에서목성 중력11.64.2
토성 표면토성 중력36.09토성에서태양 중력13.636.3
타이탄 표면타이탄 중력2.639타이탄에서토성 중력7.83.5
천왕성 표면천왕성 중력21.38천왕성에서태양 중력9.621.5
해왕성 표면해왕성 중력23.56해왕성에서태양 중력7.723.7
트리톤 표면트리톤 중력1.455트리톤에서해왕성 중력6.22.33
명왕성 표면명왕성 중력1.23명왕성에서태양 중력~ 6.6~ 2.3
태양으로부터 200 AU 지점태양 중력2.98[16]
태양으로부터 1774 AU 지점태양 중력1[16]
태양계 은하 반지름 지점은하수 중력492–594[17][18]
사건의 지평선블랙홀 중력>299,792.458 (광속)



마지막 두 열은 궤도가 정확히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특히 수성과 명왕성) 탈출 속도에 도달하는 궤도상의 정확한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20]

5. 2. 회전하는 천체의 탈출 속도

회전하는 천체에서 탈출 속도는 탈출하려는 물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지구적도에서의 자전 속도는 465 m/s이다. 따라서 지구 적도에서 동쪽으로 접선 방향으로 발사되는 로켓은 탈출을 위해 약 10.735 km/s의 초기 속도("발사 지점의 움직이는 표면에 상대적인" 속도)가 필요한 반면, 서쪽으로 발사되는 로켓은 약 11.665 km/s의 초기 속도("해당 움직이는 표면에 상대적인" 속도)가 필요하다.[15]

표면 속도는 지리적 위도의 코사인에 따라 감소한다. 이러한 이유로, 우주 발사 시설은 종종 적도에 가깝게 위치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케이프 커내버럴 (북위 28°28′)과 프랑스령 기아나에 위치한 유럽의 기아나 우주 센터 (북위 5°14′)가 있다.[15]

위치기준Ve (km/s)[15]위치기준Ve (km/s)[15]시스템 탈출 속도, Vte (km/s)
태양 표면태양 중력617.5colspan=4 |
수성 표면수성 중력4.25수성에서태양 중력~ 67.7~ 20.3
금성 표면금성 중력10.36금성에서태양 중력49.517.8
지구 표면지구 중력11.186지구에서태양 중력42.116.6
표면달 중력2.38달에서지구 중력1.42.42
화성 표면화성 중력5.03화성에서태양 중력34.111.2
세레스 표면세레스 중력0.51세레스에서태양 중력25.37.4
목성 표면목성 중력60.20목성에서태양 중력18.560.4
이오 표면이오 중력2.558이오에서목성 중력24.57.6
유로파 표면유로파 중력2.025유로파에서목성 중력19.46.0
가니메데 표면가니메데 중력2.741가니메데에서목성 중력15.45.3
칼리스토 표면칼리스토 중력2.440칼리스토에서목성 중력11.64.2
토성 표면토성 중력36.09토성에서태양 중력13.636.3
타이탄 표면타이탄 중력2.639타이탄에서토성 중력7.83.5
천왕성 표면천왕성 중력21.38천왕성에서태양 중력9.621.5
해왕성 표면해왕성 중력23.56해왕성에서태양 중력7.723.7
트리톤 표면트리톤 중력1.455트리톤에서해왕성 중력6.22.33
명왕성 표면명왕성 중력1.23명왕성에서태양 중력~ 6.6~ 2.3
태양으로부터 200 AU 지점태양 중력2.98[16]rowspan=2 colspan=4 |
태양으로부터 1774 AU 지점태양 중력1[16]
태양계 은하 반지름 지점은하수 중력492–594[17][18]사건의 지평선블랙홀 중력>299,792.458 (광속)



위 표에서 마지막 두 열은 궤도가 정확히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특히 수성과 명왕성) 탈출 속도에 도달하는 궤도상의 정확한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20]

5. 3. 실질적인 고려 사항

탈출 속도는 발사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지구의 자전 속도는 적도에서 465m이므로, 지구 적도에서 동쪽으로 발사하는 로켓은 서쪽으로 발사하는 로켓보다 더 적은 초기 속도(약 10.735km)만 필요로 한다. 반면 서쪽으로 발사할 경우에는 약 11.665km의 초기 속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주선 발사 기지는 가능한 한 적도에 가깝게 건설하려고 한다. 프랑스령 기아나에 있는 유럽의 기아나 우주 센터는 적도에서 불과 5도 떨어져 있다.[7]

대부분의 상황에서 탈출 속도를 즉시 달성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가속도가 너무 클 뿐만 아니라, 대기가 있는 행성에서는 11.2km(40320km)의 초고속으로 인해 대부분의 물체가 공력 가열로 타거나 대기 항력 때문에 찢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우주선이 대기 밖에서 꾸준히 가속하여 해당 고도에서의 탈출 속도에 도달해야 한다. 많은 경우, 우주선은 먼저 주차 궤도(예: 160km~2000km의 저궤도)에 진입한 후, 해당 고도에서 탈출 속도까지 가속한다. 이때의 탈출 속도는 약간 낮다(저궤도 200km에서 약 11km). 하지만 필요한 추가적인 속도 변화량은 훨씬 적은데, 이는 우주선이 이미 상당한 궤도 속도(저궤도에서 속도는 대략 7.8km, 즉 28080km)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위치대상탈출 속도 Ve (km/s)[20]계에서의 탈출 속도 Vte (km/s)
태양 표면태양의 중력617.5
수성 표면수성의 중력4.25수성태양의 중력~ 67.7~ 20.3
금성 표면금성의 중력10.36금성태양의 중력49.517.8
지구 표면지구의 중력11.186지구태양의 중력42.116.6
달의 중력2.38지구의 중력1.42.42
화성 표면화성의 중력5.03화성태양의 중력34.111.2
세레스 표면세레스의 중력0.51세레스태양의 중력25.37.4
목성 표면목성의 중력60.20목성태양의 중력18.560.4
이오 표면이오의 중력2.558이오목성의 중력24.57.6
유로파 표면유로파의 중력2.025유로파목성의 중력19.46.0
가니메데 표면가니메데의 중력2.741가니메데목성의 중력15.45.3
칼리스토칼리스토의 중력2.440칼리스토목성의 중력11.64.2
토성 표면토성의 중력36.09토성태양의 중력13.636.3
타이탄 표면타이탄의 중력2.639타이탄토성의 중력7.83.5
천왕성 표면천왕성의 중력21.38천왕성태양의 중력9.621.5
해왕성 표면해왕성의 중력23.56해왕성태양의 중력7.723.7
트리톤트리톤의 중력1.455트리톤해왕성의 중력6.22.33
명왕성 표면명왕성의 중력1.23명왕성태양의 중력~ 6.6~ 2.3
태양계 (은하 중심으로부터의 위치)은하계492–594[21][22]colspan=4 |
사건의 지평선블랙홀의 중력299,792.458 (광속


  • 수성 및 명왕성은 공전 궤도의 궤도 이심률이 크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의 탈출 속도는 그 시점의 태양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변화한다.

6. 대한민국의 우주 개발과 탈출 속도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어야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with Modern Physics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2] 서적 New Understanding Physics for Advanced Level https://books.google[...] Nelson Thornes
[3] 서적 Black Holes: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5] 서적 Comptes Rendus des Séances de la Troisième Conférence· Générale des Poids et Mesures https://www.bipm.org[...] Gauthier-Villars 1901-01-01
[6] 서적 Fundamentals of Spacecraft Charging: Spacecraft Interactions with Space Plasma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NASA – NSSDC – Spacecraft – Details https://nssdc.gsfc.n[...] 2019-08-21
[8] 서적 Exploring Black Holes: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y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9] 서적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y, Black Holes, and Cosm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11] 서적 Mechanical systems, classical models https://books.google[...] Springer, Japan
[12] 서적 Physics of Planetary Ionosphe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3] 서적 Classical Mechanics in Geophysical Fluid Dynamic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4] 서적 Complete Physics: JEE Main https://books.google[...] McGraw-Hill Education
[15] 웹사이트 Planets and Pluto : Physical Characteristics http://ssd.jpl.nasa.[...] NASA 2017-01-18
[16] 웹사이트 To the Voyagers and escaping from the Sun https://i4is.org/voy[...] Initiative for Interstellar Studies 2015-02-25
[17] 저널 The RAVE Survey: Constraining the Local Galactic Escape Speed
[18] 저널 On the Shoulders of Giants: Properties of the Stellar Halo and the Milky Way Mass Distribution
[19] 서적 A-level Physics https://books.google[...] Nelson Thornes
[20] 웹사이트 Planets and Pluto : Physical Characteristics http://ssd.jpl.nasa.[...] NASA 2017-01-18
[21] 저널 The RAVE Survey: Constraining the Local Galactic Escape Speed
[22] 저널 On the Shoulders of Giants: Properties of the Stellar Halo and the Milky Way Mass Distribution
[23] 웹사이트 Solar System Data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2007-01-21
[24] 서적 Night sky : a field guide to the heavens St. Martin's Press
[25] 저널 The RAVE Survey: Constraining the Local Galactic Escape Spe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